■AI&Data팀 소개
AI&Data팀을 해시태그로 간단히 소개해주세요!
👨💻AI&Data팀 :
#채용의미래
#데이터드리븐
#AI파싱
#데이터로문제파악
#AI로문제해결
AI&Data팀은 어떤 팀인가요?
👨💻AI&Data팀 :
AI&Data팀은 데이터로 문제를 발굴, 정의하고 AI를 활용하여 그에 맞는 해결방법을 제시해주는 팀입니다.먼저, 개선해야 할 부분이나 발생한 추상적이고 불명확한 문제를 데이터에 기반해 명확하게 만들어줍니다. 몸이 좋지 않을 때에는, 명확한 진단을 하고 치료를 받아야 하는데요. 왜 몸이 좋지 않은지 원인이나 경로는 잘 보이지 않고, 알기 어렵습니다. 보다 건강해지려면 이 원인과 경로를 명확하게 아는 것이 굉장히 중요한데요.
AI&Data팀은 고객들이 겪는 문제들의 원인과 경로 이유를 데이터에 기반해 파악하고, 정의하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해당 문제의 본질을 알게 되면 어떻게 해결해야 할지 다양한 방법을 제시할 수 있는데요. 문제의 본질을 알아내고, 그에 맞는 적합한 기술적 알고리즘이나 AI를 활용해서 문제를 해결해나가고 있습니다.
■AI&Data팀의 구성과 비전(+ Data, Search Engineer)
AI&Data팀의 현재 구성과 앞으로 어떤 팀을 만들려고 하는지도 궁금해요!
👨💻AI&Data팀 :
지금은 ‘Applied Research Engineer’ 한 분이 다양한 AI 접근 방법들을 학습해서 적합한 알고리즘을 설계하고 AI를 만들어주시고 계신데요.데이터 엔지니어(Data Engineer), 검색 엔지니어 (Search Engineer), 데이터 분석가 분들을 추가로 모시며 데이터와 AI 부분을 계속적으로 강화해나갈 예정입니다.
새로 합류할 ‘Data Engineer’ 분과 함께 데이터 인프라를 만들고, 양질의 많은 데이터를 수집할 예정이고, 이후 함께할 ‘Search Engineer’ 분과 함께 고객 분들이 능동적으로 활용하고 수정할 수 있게끔 하고 ‘검색, 추천’ 부분을 강화해나갈 예정입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데이터 분석가 분과 함께 데이터를 분석해서 인사이트를 얻어 채용 솔루션과 플랫폼을 고도화하고, 또 이 데이터를 고객 분들께 제공해 채용 문제를 잘 해결하실 수 있게 도울 예정이에요.

Data Engineer, Search Engineer 분들을 채용 중에 있는데, 이 분들이 쓰실 기술 스택도 알려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AI&Data팀 :
현재 적극적으로 Data Engineer, Search Engineer를 모시고 있는데요. 합류하시게 되면 아래와 같은 기술 스택을 사용하시게될 예정입니다!- Data Engineer : Python, Kafka, MySQL
- Search Engineer : Kotlin/Java, OpenSearch
AI&Data팀에 합류할 분들께 그리팅 팀은 어떤 것들을 드릴 수 있을까요?
👨💻AI&Data팀 :
그리팅은 아직 작은 기업일 수 있지만 성장 속도만큼은 정말 빠른 기업입니다. AI&Data팀 초기 멤버로 합류하신다면, 아래와 같은 부분들을 드릴 수 있을 것 같아요.1. 주도적인 시도를 하며 제품, 서비스와 함께 압축 성장할 수 있습니다.
AI나 데이터는 보통 장기적인 투자에 가까운 업무나 연구를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리팅에서는 장기적인 비전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나 업무부터 실제 고객들의 니즈나 문제 해결에도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제품과 비즈니스에도 크게 기여하며, 함께 성장할 수 있습니다.
2.채용 데이터의 앞면과 뒷면을 모두 보며, 유의미한 데이터 속에서 실제 문제 해결까지 직접 해 볼 수 있습니다.
‘그리팅’은 채용 플랫폼부터 아웃바운드, 인바운드 채용 솔루션을 모두 운영하고 있습니다. 때문에 지원부터 모집 선발 등 채용 관련한 모든 데이터에 딥다이브하며 실질적인 문제 해결까지 해볼 수 있습니다.
AI&Data팀의 인재상에 대해서도 여쭤보고 싶은데요! 어떤 분들이 AI&Data팀에 잘 어울릴 것 같으신가요?
👨💻AI&Data팀 :
역량이나 스킬은 채용하는 포지션마다 조금씩 다를 수 있으니 공통적인 태도나 역량을 말씀드려보면 좋을 것 같은데요.‘문제의 본질을 진심으로 고민하고 딥다이브 해보신 분’이라면 AI&데이터 팀과 잘 맞으실 것 같습니다.
업무나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단순히 ‘누군가 시켜서’ 혹은 ‘이렇게 해왔기 때문에’가 아니라 ‘왜’ 이렇게 하는지 적극적으로 토론해보고, 더 좋은 방법이 없을지 뜨겁게 고민해본 분이라면 좋을 것 같아요. 고민의 깊이만큼 더 성장하고, 더 좋은 결과물이 나올 수 있다고 믿고 있습니다.
■AI&Data팀의 목표와 해결한 문제
AI&Data팀은 어떤 목표를 갖고 일하고 있나요?
👨💻AI&Data팀 :
단기 목표와 장기 목표로 나눠서 말씀드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단기 목표'는 '그리팅 팀'이 보다 데이터에 친숙하게 만들고, 데이터 기반으로 업무를 고도화할 수 있게 돕는 것입니다.
일을 하다 보면 직관이나 경험에 의존해서 하기 쉽고, 고객의 목소리 하나에도 생각이 크게 흔들릴 수 있는데요. 실제 데이터나 숫자의 변화 그리고 그 안에서의 인사이트를 통해 문제의 본질을 해결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지금의 단기적인 목표입니다.
이를 위해 데이터를 기반으로 다양한 것들을 실험하고 결정해 나가며 데이터 드리븐 문화를 만들고 익숙해지는 것에 집중하려고 해요. 데이터 기반 플랫폼을 만들고 분석해서 적절한 결과를 제공하고, 전사가 데이터 중심으로 사고할 수 있도록 도우려고 합니다.
'장기적'으로는 기업과 구직자 간의 관계를 이해하고 예측하려고 합니다.
‘채용’이라는 분야는 아직 블랙박스에 가깝고, 기업과 구직자는 아직 서로에 대해 명확히 알지 못하고 있다고 생각해요. 다양한 변수가 많은 채용 프로세스 상에서 기업은 왜 적절한 지원자가 들어오지 않는지, 어떤 지원자가 잘 맞는 지원자인지 알기 어렵습니다. 그리고 지원자는 본인과 잘 맞는 기업을 알기가 굉장히 어려워요.
하지만 아웃바운드 채용인 TRM과 인바운드 채용 솔루션인 ATS그리고 채용 플랫폼인 오퍼센트를 모두 운영하는 그리팅에서는 이런 부분들을 데이터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로 이러한 부분을 명확하게 정의, 분석해서 기업과 지원자 모두가 채용 시장에서 행복해질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 장기적인 목표입니다.

와, 듣기만해도 굉장히 벅찬 목표인데요. 그렇다면 AI&Data팀이 최근에 해결한 문제나 집중한 업무는 무엇인지 궁금해요.
👨💻AI&Data팀 :
’이력서’를 데이터화할 수 있는 파싱 알고리즘을 만든 것입니다.방금 말씀드렸던 단기, 장기적인 목표를 달성하려면 각각의 기업과 구직자를 설명 가능한 데이터 형태로 정의할 수 있어야 합니다. 회사는 ‘업종’, ‘규모’, ‘매출’ 등 설명할 수 있는 속성이 많고 표현이 잘 되어 있는 것에 반해, 구직자는 이 부분이 굉장히 어려운데요. 채용 과정 속에서 구직자를 제일 많이 표현하고 하고 표현하는 것이 ‘이력서’인데, ‘이력서’의 경우 정해진 양식이 없고 자유양식이 대부분이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데이터로 만드는 것이 어려운 과제였습니다.
단기, 장기 목표를 달성하려면 이 부분부터 해결되어야 했기에 이력서를 데이터화하는 ‘파싱 알고리즘’을 만들었어요. 비정형의 이력서 데이터를 ‘정형’ 데이터로 만들어 장기 비전의 첫걸음을 떼고 또, 이 ‘AI파싱’ 알고리즘을 활용해서 ‘그리픽 플러스’, ‘그리픽 TRM’등 제품에도 접목해서 기술력을 향상시켰습니다.
관련 기사 보러가기
■AI&Data팀이 일하는 방법
말씀주신 것처럼 팀에서 다양한 문제들을 풀어나가고 계신데요. 문제를 잘 해결하기 위해 AI&Data팀만의 문제 접근 방법이 있으신가요?
👨💻AI&Data팀 :
보통 문제를 해결할 때, 아래와 같은 플로우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문제/과제 정의 → 가설 수립 및 검증 (스터디 및 실험) → 적용
1. 문제 및 과제 정의
진행해야 할 문제나 과제가 무엇인지를 명확히 정의하는 것부터 시작하고 있습니다. 문제나 과제의 경우 두 가지 카테고리로 나눌 수 있을 것 같은데요. ‘비전을 위해 필요한 기술 투자’인지, ‘제품 혹은 고객 니즈에 의해 시작되는 과제일지’에 따라 접근 방식이 달라질 것 같습니다. 어떤 방식으로 접근해야 할지 함께 이야기를 나누며 타임라인과 담당자 등까지 함께 정하고 있습니다.
2. 가설 수립 및 검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논문을 읽고 실험도 하며 POC(Proof of Concept)을 진행해나가고 있어요. 적절한 알고리즘이나 모델을 현 문제나 과제 상황에 맞게 다듬거나 적용해보기도 하고, 고도화해보기도 하면서 적합한 접근법인지 검증을 하고 있습니다. 알고리즘 등의 기술을 확보해서 제품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지, 제품을 어떻게 더 디벨롭할 수 있을지 제품팀과도 수시로 이야기를 하고 있고요.
제품 혹은 고객의 요구사항에 의해 시작되는 태스크라면 제품팀과 훨씬 더 많이 이야기하면서 기능을 개선하거나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편입니다.
3. 적용
그 이후엔 제품에의 적용과 고도화가 될 것 같은데, ATS나 TRM에 필요한 기술을 적합한 기능으로 녹여내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AI파싱’기술의 경우, ‘ATS’에는 ‘그리픽 플러스’로 업그레이드 해서 채용 담당자 분들이 지원자 이력서를 보다 쉽게 취합하도록 했고, ‘TRM’에는 후보자 분들의 상세 이력을 쉽게 인재풀로 가져와서 다른 채용 담당자분들과 협업을 쉽게할 수 있도록 했어요.
AI&Data팀의 일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여쭤보고 싶어요. 그리팅은 '고객 중심'으로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조직인데요. AI&Data팀에서도 고객 중심에서 문제를 정의하고 계신가요? 관련 사례가 있을지도 궁금해요.
👨💻AI&Data팀 :
‘고객 중심’이 그리팅 팀의 핵심가치인만큼, AI&Data팀도 업무할 때 고객 입장에서 접근하고 고민해보고 있는데요. 이런 태도로 접근해서 문제를 더 잘 해결한 경험이 있습니다!‘AI’라는 기술은 사실 확률에 의해 움직이는 친구라 한 번이라도 학습하지 않았다면 틀릴 가능성이 굉장히 높아집니다. AI가 잘못 학습하고 예측해서 전화번호나 이메일 등의 데이터를 잘못 뱉어버리면, 다른 사람에게 잘못된 결과 안내가 가는 등 큰 실수를 초래하게 됩니다.
고객인 채용 담당자에게 이 부분은 너무나 중요한 것이라고 생각해서 해당 부분에 대해 정말 깊게 고민하고, 처리해서 해당 부분에 대해 문제를 잘 해결했었는데요. 자세한 해결법은 공개하기 어렵지만 지금까지는 발생한 사고가 0건이라 굉장히 뿌듯해하고 있습니다.
그리팅 팀과 함께하시게 된다면 해당 부분에 대한 이야기를 꼭 들려드리고 싶어요!

그리팅 팀의 핵심가치엔 ‘창의적 사고’도 있는데요. 창의적으로 사고하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AI&Data팀이 하고 있는 접근 방식이 있나요?
👨💻AI&Data팀 :
관련해서 AI&Data팀이 주도적으로 하고 있는 ‘온톨로지 스터디’가 있습니다! 해당 스터디를 통해서 더 깊게 사고하고, 유연하게 접근하려 노력하고 있어요.'온톨로지 스터디'가 무슨 스터디인지 궁금해하실 것 같은데요.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을 하려면 데이터가 정확해야 하는데, 데이터가 정확하지 않고 노이즈가 섞여 있다면 좋은 인사이트를 주기가 어렵습니다. 때문에 현상을 해석하고 이해하기 위해 관련 용어나 연결되어 있는 요소들을 명확하게 발굴하고 정의하는게 정말 중요한데, 이런 내용을 하는 것이 바로 ‘온톨로지 스터디’입니다.

보다 더 정확하고 의미 있는 인사이트를 주기 위해 이런 용어와 데이터를 명확하게 정의해나가고 있습니다.
'그리팅 팀이 세상을 바꿔나가는 방법' 보러 가기
AI&Data팀의 업무는 비즈니스 성과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들었는데요! 구체적으로 설명해주실 수 있으실까요?
👨💻AI&Data팀 :
AI&Data팀의 업무는 보통 장기적인 투자인 경우가 많은데, 저희는 비전 달성을 위한 장기적인 투자임과 동시에 비즈니스 성과로도 큰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먼저, AI파싱 기술을 이용해 TRM(아웃바운드 채용), ATS(인바운드 채용)의 기업 자체 풀을 만고 ‘인재 재발굴’이라는 개념을 선보였는데요. 고객 분들도 너무 좋아했고, 해당 부분으로 그리팅에 관심을 가지고 도입까지 이어진 분들도 굉장히 많았습니다.
이후에도 AI&Data팀은 ‘오퍼센트’라는 채용 플랫폼에서도 큰 역할을 할 예정입니다. 가고 싶거나 합격 할 수 있는 공고를 발견하지 못해서 기회를 가지지 못한다면 너무 아쉬운 일일텐데요. AI&Data팀은 검색, 추천 부분에 큰 공을 들여 구직자 분들이 꼭 봐야하고, 보고 싶은 공고를 잘 선별해서 노출시켜 양질의 채용 플랫폼을 함께 만들어갈 예정입니다. 때문에 ‘Data Engineer’, ‘Search Engineer’ 등 좋은 분들을 AI&Data팀에 모시고 있어요.

인재 재발굴로 채용 문제를 해결한 '안랩' 고객 사례 보러가기!
■마지막 한 마디
마지막으로 그리팅 팀에 관심 있어 할 잠재적 지원자 분들께 한 말씀 부탁드립니다!
👨💻AI&Data팀 :
지금의 그리팅이 갖고 있는 데이터 양 자체는 적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데이터를 가지고 풀고자 하는 문제나 그 의미는 누구보다 클 수 있고, 성장속도 또한 굉장히 빠른 편입니다.채용 솔루션 ‘그리팅’(ATS/TRM)에 고도화된 데이터를 더함으로써 채용 담당자 분들께는 ‘Data-driven Recuriting’이라는 비전을 제시하고, 채용 플랫폼 ‘오퍼센트’에 양질의 데이터를 더함으로써 지원자와 기업간의 관계를 더 잘 풀어나가실 분을 찾고 있습니다.
지금 초기 멤버로 합류해서 함께 채용 문제를 풀어보시죠!